자극추구(NS, Novelty Seeking)
새로운 자극이나 잠재적인 보상단서에 접하면 이러한 자극에 끌리면서 행동이 활성화되는 경향성
새롭고 낯선 것일지라도 열정적으로 탐색. 남들이 예견하지 못하는 숨어있는 보상을 잘 발견. 단점은 욕구가 좌절될 때 쉽게 화를 내거나 의욕을 상실. 그래서 대인관계에서 불안정하고, 일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노력하지 못할 수 있음.
↔️ 성미가 느리고 호기심이 부족하며 정적이고 심사숙고한다. 검소하고 절제되어 있으며 단조로움을 잘 견디고 체계적인 사람으로 기술된다. 새로운 자극에 대한 흥미가 별로 없다. 익숙한 것을 더 편하게 여기고 새로운 자극에 대해서는 오히려 저항적인 태도. 신중하게 생각하고 분석적이며 종종 한 가지 일에 뛰어난 집중력을 나타낸다. 근검절약하며 사치나 낭비를 즐기지 않는다. 쉽게 흥분하지 않고 화내기를 더디한다. 분명한 규칙을 좋아하고 좌절을 잘 견디며 매사에 체계적이고 질서를 중시한다.
1) 탐색적 흥분 / 관습적 안정성
많은 사람들이 시간 낭비라고 느낄 만한 낯선 상황이나 낯선 장소를 탐색하는 데 흥미를 느낀다. 따라서 이러한 사람들은 때로 '감각추구적'이라고 기술되기도 한다. 새로운 생각이나 활동에 쉽게 빠져들고 스릴과 흥분, 모험을 즐긴다. 단조로운 것에 쉽게 싫증을 느끼며 반복적인 일상을 피하여 변화를 추구한다. 때로 비관습적이거나 혁신적인 사람으로 인식된다.
↔️ 새롭거나 신기한 자극에 대해 별 흥미를 느끼지 않는다. 탐색을 통해 새로운 즐거움을 찾기 보다는 익숙한 장소나 사람, 상황에서 더 만족을 느끼며 새로운 생각이나 활동에 빠져드는 것을 꺼려한다. 특별히 실용적인 이유가 없이는 자신이 지속해온 행동방식을 잘 바꾸려 하지 않는다. 좀처럼 지루해하지 않으며 새롭고 더 좋아보이는 방식이 있더라도 자신에게 익숙한 방식을 고수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종종 관습적인 사람으로 인식된다.
2) 충동성 / 심사숙고
쉽게 흥분하며, 감정변화가 극적이고, 순간적인 인상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 기분파. 불충분한 정보에도 불구하고 성급하게 결정을 내리며 충동조절이 어려운 편. 순간적인 본능이나 직관적 육감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사건이 발생하거나 추가적인 정보가 나타날 경우에 결정이나 의견을 번복해야 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종종 주의가 산만하여, 한 가지 일에 오랫동안 주의를 집중하는 것이 힘들다.
↔️ 오랜시간을 두고 여러모로 생각하는 심사숙고형의 사람이다. 좀처럼 추측이나 육감을 바탕으로 행동하지 않는다. 오히려 의사를 결정하고 판단을 내려야 할 때면 상세한 정보를 수집하고 세밀하게 분석하는 경향을 보인다. 주의가 쉽게 산만해지지 않고 한 가지 일에 오랫동안 잘 집중할 수 있다.
3) 무절제 / 절제
돈, 에너지, 감정 등을 잘 절제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예로, 돈을 저축하기 보다는 쓰는 것을 더 좋아하기 때문에, 특별한 계획이나 휴가 등을 위해서 돈을 모으는 것이 쉽지 않다. 때로 다른 사람들에게 당당하고 화려하며 거칠 것이 없는 사람이라는 인상으로 비칠 수 있다. 돈이나 자원, 능력이 바닥날 때까지 다 써가며 사는 방식을 좋아한다.
↔️ 아끼고 조심하며 매사에 통제를 잘 한다. 돈이나 에너지, 감정 등을 낭비하지 않고 절제하는 편이다. 다른 사람들에게 검소하고 인색한 사람으로 인식된다.
4) 자유분방 / 질서정연
쉽게 화를 내는 경향을 보인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당장 얻지 못할 때 쉽게 성을 내고 분노를 밖으로 드러낸다. 엄격한 규칙이나 규제가 없는 활동을 더 선호하며 고정된 일정이나 정해진 규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들키지만 않는다면 법이나 규칙을 더 쉽게 어길 수 있으며, 얘기를 재미있게 하기 위해 진실을 포장하거나 과장하기도 한다. 신체적 혹은 심리적으로 좌절스럽고 지루하고 불편한 상황을 잘 견디지 못하고 피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 조직적이고 질서정연하며 체계적이다. 엄격한 규칙과 규율이 있는 활동을 더 선호한다. 좌절을 참고 견디며 욕구 만족을 지연시키는 능력이 많다. 화를 내는 데 더디며, 분노를 밖으로 잘 드러내지 않는 편이다.
*<TCI 통합 매뉴얼 개정판_마음사랑> 중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