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

ADHD 아동, 왜 긍정적 사회성 기술을 배우지 못할까? (feat. 사회기술훈련)

큐탬버 2024. 9. 21. 13:48
728x90
반응형
"다른 아이들이 나를 놀리는 건 괜찮아요. 그냥 웃으려고 하는 건데요 뭐." 

- 스스로 합리화하는 아동의 반응

 
 
 

지식의 부족

긍정적 사회성 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의 부족은 ADHD를 가진 아동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목표에 대해 이해를 잘못할 수 있다. 다른 친구들과 함께 놀이를 하는 것의 목표를 이해하지 못하면 경쟁에 집착하게 된다. 
 
다른 아동과의 놀이 목표는 친구들과 같이 게임을 하며 협동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지후는 친구들과 함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하는 것을 배운 적이 없고 경쟁 게임에 대해서도 몰랐다. 게임 중 지고있다는 것을 안 지후는 부적절한 행동을 했다. 게임의 보드를 집어던지고 뛰쳐나간 것이다. 
(어쩌면 지후는 자신이 잘 모르는 게임에 진 것을 매우 당황스럽게 생각했을 것이고 놀이 중 친구들과의 협동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또래와의 협동과 긍정적 상호작용이라는 긍정적 사회성 기술"


지후와 같이 ADHD를 가진 아동은 왜 이러한 전략들을 내면화시키지 못했을까? 지식이 부족 뿐 아니라 긍정적 사회적 기술들을 연습해보지 않았다. 연습은 이런 사회성 기술을 연마할 수 있게 도와준다. 아동들은 친구를 만들고 싶다고 말은 하지만 어떻게 사귀어야 할지 모른다.
그리고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 구체적인 사회성 기술들을 연습해야 한다는 것도 모른다. 
 
 
 
 
 

피드백에 대한 연습부족

연습, 연습, 연습, 또 연습이다.

 
ADHD를 가진 아동은 어쩌면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적절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충분한 연습을 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
아동에게 사회성 기술을 가르치는 더욱 효과적인 방법은 부모가 개입되었을 때이다. 부모들이 매일 같이쏟는 노력은 보통 이상의 인내심을 요구한다는 것도, 부모들이 항상 지친 상태라는 것도 알고 있지만 
맞벌이를 하는 부모라면, 집에 도착하여 밤늦게까지 아동을 관리하기 위해서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어떤 사회성 기술이 결핍되었을까?

  • 사회인식의 어려움
  • 생길 결과에 대한 생각부족
  • 감정표현의 어려움
  • 욕구충족 지연의 어려움
  • 부적절한 미용과 위생
  • 듣는 (listening) 역할을 이해하지 못하고 수행하지 못함
  • 타인 관점을 수용할 능력 없음
  • 대화상대를 보고 웃는 것이 적음
  • 결과에 영향을 미칠 사회적 상황에서 행동을 꺼림
  • 분명치 않거나 불완전한 정보에 대해 분명하게 해줄 것을 요청할 가능성이 적음
  • 말을 많이 하거나 적게 하는 경향
  • 교사에게 더 많이 접근해서 부적절한 질문들을 할 가능성
  • 대인관계 문제해결에 있어 덜 능숙함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 사례

 

훤이는 8살 초등학교 1학년이다. 체육이나 음악시간에는 조용히 듣고 있던 훤이가 수학이 시작되면서부터 갑자기 욕구불만을 나타낸다. 노래를 부르거나 손가락으로 책상을 툭툭 치기도 하고 주위를 돌아다니다가 결국 문쪽으로 가게 되었다. 교사는 훤이를 달래서 자리로 돌아오게 하고 다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다행히 훤이는 이 순간만큼은 교사의 말을 들었지만, 이런 부적절한 행동과 이것을 통제하려는 교사의 시도는 계속되었다. 교사가 할 수 있는 것은 단지 훤이의 행동에 반응하는 것이었다.

 
 
훤이의 행동은 왜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인가? 훤이의 이상한 행동은 자신의 능력에도 불구하고 교실에는 용납되지 않는 것이다. 교실에서는 이 행동으로 인해 징계를 받거나 '나쁜' 아이가 될 것이다. 
사회성 기술로 문제가 있는 아동이나 학생이 있다면, 다음의 리스트를 확인해보길 권한다.
 

  • 친구를 사귀는 것이 어렵거나 친구가 없다
  • 다른 아동들의 신체언어(body language)를 이해하지 못한다
  • 책임을 지는데 문제가 있다 ; 어떻게 책임지는 행동을 하는지 모른다
  • 상대방의 말을 방해하지 않고 듣는 것이 어렵다
  • 취약해 보이며 자주 괴롭힘을 받거나 스스로를 괴롭힌다
  • 자기 통제가 어렵다
  • 또래와의 협력과 타협에 문제가 있다

 
아동이 다른 아동들과 상호작용한다면 그들로부터 거부당하거나 마음에 상처를 받게 되거나 눈물을 흘린다는 것을 충분히 알 것이며, 또래 아동들과 상호작용이 어렵다는 것도 충분히 인식하게 될 것이다. 이 상호작용의 결과가 사회성 기술결핍의 신호라고 할 수 있다. 같은 교사와 부모가 적절하게 행동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다른 아동들도 볼 수 있는데, 도대체 왜 그들은 어떻게 사회성 기술을 배우고 터득하였는지에 대해 의아해한다. 
 

사회성 기술결핍을 달리 말하면 타인을 신경질나게 하고 성가시게 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부적절한 사회성 행동으로 인해 훤이는 또래로부터 무시당하거나 거부당하는 학대를 받게 된다. 교사는 이 아동들을 향한 다른 아동들의 행동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고, 훤이와 같이 ADHD를 가진 아동은 좀더 허용될 수 있는 상호작용에 대해 배워야 한다. 모든 사회적 경험은 초기 상호작용에서 시작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