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폭력성2

불편한 감정을 일로 도피할 때 나타나는 유형(발췌_가짜감정 김용태) 우리는 우리의 감정을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자기감정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 불편한 감정이 느껴지면 표현하기보다 억압하기 때문이다. 감정은 느끼고 표현하면 저절로 사라진다. 하지만 표현되지 못한 감정은 우리 몸 어딘가에 남아 끊임없이 표현되기를 요구한다. ​ 사실은 어렸을 때부터 불안이나 두려움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감정을 억압한다는 것이다. 화, 슬픔, 외로움, 수치심 같은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면 위험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무의식 속에 꾹꾹 눌러놓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의식 속에 쌓인 화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압력이 세지고 밖으로 나오려는 힘이 강해진다. 충동성이 강해진 화가 분노이며, 이것이 더이상 제어되지 않을 때는 분노폭발이 일어난다. 반면, 분노의 에너지가 밖으로 표출되지.. 2023. 11. 6.
정신병원에 대한 오해 오늘 서울 한 중학교에서 연락을 받았습니다. 친구의 행동이 '거슬린다'는 이유로 들고 있는 물건을 이용해서 흉기처럼 친구에게 해를 가할 생각을 하고 있다고.. 그래서 다음주에는 가정에서 지내기로 했다고. … 저는 프로토콜로 정말 위급할 땐 '응급실'로 가도록 안내합니다. 정말 심각하면 입원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이 가슴아픈 일을 하는 이유는 자기 자신을 해하는 것도, 남을 해하는 것도 위급한 상황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당사자, 그리고 함께 있는 주변 사람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인데요. 전 오늘 그 소식을 듣고 난 후로 마음이 편치가 않습니다. 지금도 덩치만 컸지 그 속은 영락없는 아이를 데리고 컨트롤 하고 진정시키면서도 괴물같이 변해버리는 금쪽이로부터 두려움을 느끼고 있을, 그.. 2023. 10.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