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노조절장애4

개인SST #3. 분노조절 사회기술훈련 * 제가 진행했던 SST 의 내용을 기록으로 남겨놓고자 만든 포스트입니다. 모든 학생에게 동일한 내용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친구의 경우 순간 치밀어 오르는 분노를 조절하기 매우 어려워 합니다. 제가 올리는 이 사례의 학생은 초등학교 4학년, 진단명 ADHD 이었는데, 현재 보여지는 양상은 mood problem 이 동반되고 있고, 사춘기가 시작됨을 고려해야 하겠지만 제가 만났던 여느 학생과 조금 다른 면이 있습니다. 국가사업으로 진행하는 사례인데 상담소로 데려오기도 그렇고, 마음이 많이 쓰이네요. 친구의 행동을 자신에 대한 무시나 공격으로 오해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못하게 막는 즉시 바로 행동화(때리기, 손에 쥐어지는 물건으로 공격하기 등)로 이어집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황에.. 2024. 8. 26.
개인 사회기술훈련 (feat. 초등4학년 남학생 분노대처) 분노대처 프로그램의 효과는 초기의 12회기 형태와 비교해서 18회기를 할 때가 더 강력함을 발견했다(Lochman, 1985). 이 준실험적 연구에서 교사가 파악한 22명의 공격적인 아동들이 18회기 형태의 분노대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관점 전환, 역할극을 더 강조하고 분노 유발 상황에서의 문제해결이 많아짐), Lochman과 Burch 등(1984)의 12회기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남학생들과 비교하였다. 더 길게 18회기를 할 경우, 공격적인 남학생들은 과제 수행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수동적인 과제 외 행동도 더 많이 감소하였으며, 만성적인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들에게는 더 긴 개입 기간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개입결과를 예측하는 아동의 특성에 대한 다른 연구에서, Lochman, Coie, Un.. 2024. 7. 31.
불편한 감정을 일로 도피할 때 나타나는 유형(발췌_가짜감정 김용태) 우리는 우리의 감정을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자기감정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 불편한 감정이 느껴지면 표현하기보다 억압하기 때문이다. 감정은 느끼고 표현하면 저절로 사라진다. 하지만 표현되지 못한 감정은 우리 몸 어딘가에 남아 끊임없이 표현되기를 요구한다. ​ 사실은 어렸을 때부터 불안이나 두려움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감정을 억압한다는 것이다. 화, 슬픔, 외로움, 수치심 같은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면 위험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무의식 속에 꾹꾹 눌러놓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의식 속에 쌓인 화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압력이 세지고 밖으로 나오려는 힘이 강해진다. 충동성이 강해진 화가 분노이며, 이것이 더이상 제어되지 않을 때는 분노폭발이 일어난다. 반면, 분노의 에너지가 밖으로 표출되지.. 2023. 11. 6.
정신병원에 대한 오해 오늘 서울 한 중학교에서 연락을 받았습니다. 친구의 행동이 '거슬린다'는 이유로 들고 있는 물건을 이용해서 흉기처럼 친구에게 해를 가할 생각을 하고 있다고.. 그래서 다음주에는 가정에서 지내기로 했다고. … 저는 프로토콜로 정말 위급할 땐 '응급실'로 가도록 안내합니다. 정말 심각하면 입원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이 가슴아픈 일을 하는 이유는 자기 자신을 해하는 것도, 남을 해하는 것도 위급한 상황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당사자, 그리고 함께 있는 주변 사람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인데요. 전 오늘 그 소식을 듣고 난 후로 마음이 편치가 않습니다. 지금도 덩치만 컸지 그 속은 영락없는 아이를 데리고 컨트롤 하고 진정시키면서도 괴물같이 변해버리는 금쪽이로부터 두려움을 느끼고 있을, 그.. 2023. 10.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