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adhd사회성2

ADHD 아동, 왜 긍정적 사회성 기술을 배우지 못할까? (feat. 사회기술훈련) "다른 아이들이 나를 놀리는 건 괜찮아요. 그냥 웃으려고 하는 건데요 뭐." - 스스로 합리화하는 아동의 반응   지식의 부족긍정적 사회성 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의 부족은 ADHD를 가진 아동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목표에 대해 이해를 잘못할 수 있다. 다른 친구들과 함께 놀이를 하는 것의 목표를 이해하지 못하면 경쟁에 집착하게 된다.  다른 아동과의 놀이 목표는 친구들과 같이 게임을 하며 협동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지후는 친구들과 함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하는 것을 배운 적이 없고 경쟁 게임에 대해서도 몰랐다. 게임 중 지고있다는 것을 안 지후는 부적절한 행동을 했다. 게임의 보드를 집어던지고 뛰쳐나간 것이다. (어쩌면 지후는 자신이 잘 모르는 게임에 진 것을 매.. 2024. 9. 21.
소아청소년 개인상담 소아청소년에게도 상담이 필요합니다. 자신을 건강하게 표현할줄 알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들어줄 수 있는 여유는 태엽이 물려 시계가 돌아가듯 맞물려 발달하게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말을 잘한다고 해서 자기표현을 잘한다고 볼 수 없고, 말수가 적기 때문에 우울한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소아정신과 진료를 받으러 온 아이의 상당수가 SST(사회성훈련)에 의뢰가 됩니다. 진단은 ADHD, Asperger,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등, 치료실에서 가장 먼저 시행하는 것은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 마음 속의 응어리를 파악하고 풀어주는 일이더군요. 마음이 녹고 눈물이 터지고 라포가 형성되며 치료자와의 대화 속에서 자신을 찾아갑니다. 대화를 하고 싶지만, 들어주며 마음을 읽.. 2022. 1.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