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

내향적인 사람 (MMPI-2, INTR, SOD)

by 큐탬버 2024. 9. 4.
728x90
반응형

내용척도와 내용 소척도에서 사회적 불편감(SOD)에 대해 알아본다.

 

문항수 24; 13문항이 그렇다로 채점

주요 내적상관: 척도 A, 7, 0, D1, D-O, Hy1, Pd3, Ma3, Si1, Si2, DEP, LSE, WRK, TRT, INTR과 정적 상관

기술: 양극성 척도로 높은 점수는 내향성을, 낮은 점수는 외향성을 나타낸다. 문항의 4분의 3이 척도 0과 중복된다. 

문항들은 수줍음과 자의식; 당혹감, 어색함, 어리석은 행동을 할지 모른다는 두려움; 대화상황에서 과묵함; 사회적으로 두드러지고 싶지 않은 욕구; 모임, 파티, 낯선 사람에 대한 회피; 혼자 있는 것에 대한 선호 등을 나타낸다. 대인관계에 대한 혐오는 척도 0보다 SOD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해석: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개인이건 집단이건 다른 사람(들)을 피한다. 대인관계 상황을 불편하고 어색하게 느낄 뿐더러, 이들의 말에 의하면 혼자일 때 더욱 행복하기 때문이다. 대인관계의 회피가 사람에 따라 외로움의 방어적 부인을 뜻할 수도 있지만, 이들은 외롭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낮은점수: 사람을 사귀기를 좋아하는 사교적인 유형이다.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즐긴다. 자신감이 있고 사회관계에서 편안함을 느낀다. 친절하고, 재미를 추구하며, 참여적이고 융통성이 있어보인다. SOD2>SOD1 차이가 크면, 사람들 속에서뿐만 아니라 혼자 있을 때에도 편안함을 느끼기 어려운 사람임을 시사한다. 두 소척도의 점수가 매우 낮으면, 언변은 뛰어나나 상호작용이 피상적이다. 이러한 상호작용 방식은 높은 사회적 갈망(그리고 높은 사회적 회전)이 있는 조증/경조증 증후군과 일치한다.

 

내용소척도 2개

SOD1(내향성; 16문항; 8문항이 그렇다로 채점). 무쾌감증, 집단이나 사회적 상황의 회피, 대인관계에 대한 혐오,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하는 특징이 강조된다. SOD2보다 더욱 행동적이다. SOD1에 Si2의 모든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낮은 SOD1-높은 SOD2 패턴

좀 더 사회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열망과 상호작용에서 개인적 편안함과 통제감이 증가되길 바라는 욕구를 반영할 수 있다. 이 패턴은 무대에서 다른 사람들을 경직되게 피하지는 않지만 불안한 동요 속에서 그냥 다가가는 것에 불과한 무대 공포증과 비슷하다. 

INTR을 참조할 때 매우 낮은 점수는 혼자되는 상황을 참지 못하고 군중 속에 휩쓸리고 싶은 욕구를 반영한다.

 

SOD2(수줍음; 7문항; 4문항이 그렇다로 채점). 문항들은 자의식, 사회적 억제, 수줍음, 쉽게 당황함, 사회적 관계에서의 불편감을 반영한다. 이 문항은 Si1 척도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 점수가 높으면 자신감이 부족하고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을 두려워한다. 또한, 이들은 자신이 어색하거나 서투른 사람으로 인식되지 않을까 두려워한다. 다른 사람들은 이들을 과묵하고, 냉담하다고 본다. 낮은 점수는 자신감과 거침없는 사교적인 양식을 반영한다. 낮은 점수가 사회적 대담함, 매우 적극적인 사교성, 정신병질적 태평함을 반영하는 경우도 있다. Pd3, Ma1 참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