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에 방영된 SBS 금토드라마 굿파트너는 이전 회차들과는 전혀 새로운 차원의 인물이 등장합니다.
허우대가 멀쩡해도 너무 멀쩡한 의뢰인. 천환서(곽시양) 이사장.
아버지가 이름을 건 병원을 운영하는 병원장에, 자신은 의료재단의 이사장으로 살아가고 있죠.
한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그것은 숨겨진 가정폭력인데요.
법무법인 대정의 이혼팀 한유리(남지현) 변호사가 처음으로 맡은 VIP 케이스였는데, 그 내용은 MOU를 맺은 천의료재단의 이사장 천환서의 아내가 이혼소송을 반복적으로 내는데, 이를 기각시켜달라, 라는 것이었죠.
(여기서부터 이상하다고 낌새를 챘어야 했는데... 반복되었다면 이전에 의뢰했던 로펌에 또 하면 되지 않습니까)
한변이 이 사건을 맡으면서 알게 되는 것은 천환서 아내(박아인)의 극도의 공포 반응이었습니다.
폭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극심한 공포 반응을 보이지만, 남아있는 증거가 없다는 점은 천환서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지만요.
그래서 한변이 다시 자신의 의뢰인에게 확인하지만, 돌아오는 것은 의뢰인의 엄청난 공격성이었습니다.
그리고 난 뒤 변호사 교체를 당당히 요구하는 천환서, 여기서 잘됐다 싶은게 드디어 차은경(장나라) 변호사가 등판하게 된다는 것이구요.
그 모습에서부터 감지할 수 있었습니다. 아, 이 사람 가정폭력범이구나. 아니, 반사회성이구나..라고.
그래서 찾아보았습니다. 반사회성 인격장애. 일명 사이코패스.
반사회성 인격장애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진단적 특징
A. 다른 사람들의 권리를 무시하거나 침해하는 지속적인 행동양상. 아동기나 성인기 초기에 시작해서 성인기까지 지속됨.
사이코패스라 명명되기도 함. 거짓말과 속임수가 특징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임상적 평가를 통한 정보를 다른 주변에서 얻은 정보들과 통합하는 것이 좋음.
1) 법적 행동에 관련된 사회적 규범에 맞추지 못함. 체포의 이유가 되는 행위를 반복.
재산을 파괴하고 다른 사람을 괴롭히고, 절도, 불법적인 일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행동 반복.
다른 사람들의 소원, 권리, 감정을 무시
2) 개인적인 이익이나 쾌락을 얻기 위해서 자주 거짓말과 속임수를 사용.
반복적인 거짓말, 가짜 이름 사용, 사기를 치고 꾀병을 부림.
3) 충동적이고 미리 계획을 세우지 못함.
충동적인 결정이 다른 사람이나 자신에게 끼칠 결과에 대해서는 전혀 심사숙고 하지 않음.
갑자기 직업, 거주지 혹은 연인관계 등을 바꾸기도 함.
4) 불안정하고 공격적인 성향. 신체적 싸움이나 폭력에 반복적으로 개입(배우자나 자녀를 구타하기도 함)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위험에서 보호하기 위해 한 공격적인 행동은 이 항목에서 배제함*
5) 자신이나 타인의 안전을 무시하는 무모성. 특히 운전에서 드러남(반복적인 과속, 음주운전, 다수의 사고경험)
해로운 결과를 가져올 위험성이 높은 성적 행동이나 물질사용에 관여.
아이들을 방임하거나 잘 돌보지 못해 위험에 빠뜨리기도 함.
6) 지속적인 극도의 무책임
무책임한 직업행동- 구직의 기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무직 상태로 지내기도 하고 다른 직업을 구하겠다는 현실적인 계획도 없이 직장을 그만두기도 하는 모습. 자신이나 가족이 아프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직장에 결근. 경제적 책임감이 없고 빚을 갚지 모새 파산을 하거나 아이들을 부양하지 못하거나 일정한 수입으로 피부양자 부양 못함.
7) 다른 사람을 해하거나 학대하거나 다른 사람의 것을 훔치는 것에 대해 아무렇지도 않게 느끼거나 이를 합리화 하는 등 양심의 가책 결여. (예: "삶은 불공평하다" "패자니까 그렇게 당해도 된다") 희생자들이 바보같고 무력하며 그렇게 되어도 마땅하다고 비난("그 사람의 자업자득이야") 자기 행동의 위험한 결과를 축소하려고 하거나 철저히 무관심하게 대응. 잘못된 행동에 대해 보상을 하지 않고 행동을 고치지 못함. 모든 사람은 일인자를 도우려고 애를 쓰고, 그래서 사람은 차별당하지 않기 위해 어떤 일도 서슴지 않아야만 한다고 믿음.
B. 최소 18세 이상
C. 15세 이전 품행장애가 시작된 증거
품행장애: 다른 사람의 기본 권리나 주요 연령에 맞는 사회적 규범이나 규칙을 어기는 행동이 반복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
- 사람과 동물에 대한 공격
- 재산파괴
- 사기 또는 절도
- 중대한 규칙위반
D. 반사회적 행동이 조현병이나 양극성 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는 것이 아님.
안타까운 것은 극중에서 아내가 죽임을 당하죠. 법무위원들이 아내를 남편으로부터 분리조치 시키는 것에서부터 열이 받은 천환서가 그렇게 한 것인데요.
살인사건 현장에 변호사를 부르는 천환서의 이해가 불가능한 행동, 가까스로 마지막 숨을 내쉬는 아내를 보며 "아직 안죽었네?" 라고 말할 수 있는 비인격적 행동, 차변(장나라)의 딸까지 위협하여 차변의 입을 막으려는 협박성 행동과 말.
재판정에서 모든 사실을 말하는 차변의 입장이 대단하다 싶을만큼 엄청 이입하게 되더군요.
'주절주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무도실무관 김우빈 심리분석(feat. 에니어그램7번, TCI 자극추구) (5) | 2024.09.21 |
---|---|
상담후기모음 (1) | 2024.09.04 |
'폭군'의 채자경, 해리성 정체성장애 (2) | 2024.08.21 |
Vlog#1. 월요일 재택근무자의 일상 (0) | 2024.07.31 |
그로잉스텝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