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C L A S S ㅣ 수업25

일상생활로 돌아가기(퇴원후 회복상담) 수술 후 집으로 돌아오면 몸이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는 음식, 움직임, 생활패턴이 회복되도록 가족의 도움이 필요한 것처럼, 정신과 입원도 마찬가지입니다. 정신과에서 약 2주~4주간 입원치료를 마치고 나면 다시 원래 살던 곳, 하던 일로 복귀하게 되지요. 원하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발생한 증상으로 인해 급성 치료는 받았을지 모르나, 원래의 나의 삶으로 돌아왔을 때 '내가 잘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안해보는 사람은 없는 것 같습니다. 새롭게 시작하고 싶지만 달라지지 않는 자신과 환경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위축되는 경우도 상당합니다. 병원에서 어떤 치료를 받았느냐 이후에는, 어떻게 일상으로 복귀할 것이냐의 문제가 남아있습니다. 달라지고 싶다는 의지만 있으면, 작은 팁에도 큰 도움을 받을 수 있구요.. 2022. 1. 12.
성인상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는 분들은 크게 성인과 소아청소년으로 나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단순히 연령대로 분류하는 것만이 아닌, 성인과 소아청소년에게는 접근하는 방법도 다르기 때문이지요. 특히, 외래에서는 진료를 받고 교수님의 처방에 따라 '상담' 을 진행해온 저에게는 여러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습니다. 진료 후 50분의 시간을 내어 5차례 상담해서 끝나는 케이스도 있다가도 사실 상당부분의 케이스가 10회기, 15회기까지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고, 당사자 개인의 스트레스를 해소해서 해결될 문제인 반면, 가족의 동참이 필요한 경우도 상당수이기 때문이었지요. 대기업 임원은 물론 프로그램 개발자, 교사, 전업주부, 군입대를 앞둔 청년, 사회초년생 등 정말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지만 각 개인에게 필요한 것은.. 2022. 1. 12.
소아청소년 개인상담 소아청소년에게도 상담이 필요합니다. 자신을 건강하게 표현할줄 알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들어줄 수 있는 여유는 태엽이 물려 시계가 돌아가듯 맞물려 발달하게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말을 잘한다고 해서 자기표현을 잘한다고 볼 수 없고, 말수가 적기 때문에 우울한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소아정신과 진료를 받으러 온 아이의 상당수가 SST(사회성훈련)에 의뢰가 됩니다. 진단은 ADHD, Asperger,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등, 치료실에서 가장 먼저 시행하는 것은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 마음 속의 응어리를 파악하고 풀어주는 일이더군요. 마음이 녹고 눈물이 터지고 라포가 형성되며 치료자와의 대화 속에서 자신을 찾아갑니다. 대화를 하고 싶지만, 들어주며 마음을 읽.. 2022. 1. 12.
서초고등학교 집단상담 '코로나19와 자기돌봄' 2021년도 얼마 남지 않은 12월 23일 서초고등학교에서 2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단회기로 진행하는 가이던스 집단(심리교육 집단) 상담을 진행하고 왔습니다. 사실 학교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는 처음이었지만, 병동에서의 프로그램 진행 경험들 때문에 해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나를 봐주지 않아도 괜찮은 정도의 멘탈준비? ㅎㅎㅎ ) 벌써 코로나시대 3년차에 접어들었고, 주제는 '코로나 19와 자기돌봄' 이었습니다. 상담 이론을 기반으로 한 구조화(혹은 반구조화) 활동주제 안에서 제가 내용을 구성하면 되는 거였는데 무엇보다 MBTI 와 같은 검사에는 이미 많이들 노출되었기 때문에(오염이라는 표현을 쓰지요) 테스트를 할 경우에는 새로운 종류로 찾아봐야 했습니다. 그래서 '조하리의 창'이라는 주제로 .. 2021. 12. 26.
개인수업 후기 : 지시하기/따르기 오늘로서 10회기를 진행한 8세 방문수업 결과물입니다. 사진 찍어도 된다고 기꺼이 허락해주었네요. 병원을 통한 의뢰가 아닌 제가 올린 광고로 만난 친구였기에 온전히 제 capability를 증명해야하는, 그래서 초반에 긴장이 많이 되었던 케이스였어요. 아이가 라포가 잘 형성되고 어머님도 적극적이고 호의적이셔서 지금까지 잘 올 수 있었어요. 이 친구는 모델링과 긍정강화가 중요한 시기라 저도 수업내용을 짜는데 신경을 많이 쓰게 되네요. 구조화 된 진행은 확실히 아이의 집중력이 높고, 저도 훨씬 clear하게 긍정적 강화를 해줄 수 있게 되네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주업 중의 하나가 사회기술훈련이라지만, 사회성 수업이라는게 하면 할수록 제게는 고민이 많이 생기는 것 같아요. 단순히 수업을 잘 준비하고 진행한다.. 2021. 12. 21.
[사회성 수업] 겨울방학 그룹수업을 오픈합니다 코로나 시대, 미디어에 더욱 가까워진 아이들 하지만 막상 친구들을 만나고 자연스럽게 관계를 형성해가는 일이 점점 더 어려워지는 시대에 살고 있는 것 같아요 실제로 저도 1:1 사회성 수업을 할 때도 많이 느끼고 있어요 아주 단순한 질문 '만약 ~다면, 어떨까?' 하는 아이들의 스토리가 많이 없어져가는 것 같아요 그런데 이 생각을 확장시키다보면 관계에 서툰 아이들이나 관계를 잘 하는 아이들 모두 같은 상황에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 잘 만들어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겠다 생각이 들었어요 친구를 사귀거나 어려웠던 관계를 다시 풀어내고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기회 말이지요 :) 방학시간은 잠시 모든 일정을 멈추고, 입학/졸업을 맞아, 새 학년을 준비하며 마음을 새롭게 준비하는 시기인데요 이 시기에 발맞춰 겨.. 2021. 12. 2.
프로필 상담내용 l Social Skill Training 사회성프로그램 일상생활훈련 개인상담 (일상유지 l 위기상담) Family Evaluation & Psycho-social Assessment (의료기관 의뢰) Psychoeducation (의료기관 의뢰) 수업방식 l 1:1 수업, 기본 8-10회기 *그룹세션은 방학기간 진행합니다 트라이얼세션 1회 연령대별 회당 40-50분 수업 + 부모면담 10분 주요대상 l 소아청소년 l 부모교육 ADHD l Asperger Syndrome l Mood problem l Behavior problem l Observation + 우리 아이의 문제가 병원가야 할 정도인지 고민이 될 때 언제든 문의주세요 프로필 l 보건복지부 산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1809호 한동대학교.. 2021. 7. 21.
728x90
반응형